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36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사육 제한 구역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사육 제한구역(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54 에서2) 법 제8조 (가축사육의 제한 등) 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지역주민의 생활환경보전 또는 상수원의 수질보전을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 중 가축사육의 제한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지역에 대하여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일정한 구역을 지정ㆍ고시하여 가축의 사육을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지방자치단체 간 경계지역에서 인접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이 있으면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거쳐 일정한 구역을 지정ㆍ고시하여..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26.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실태조사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실태조사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4조)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52 에서1. 농경지의 양분 현황을 고려하여 적정한 규모의 가축이 사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사하는 경우가. 가축의 종류별 사육 마릿수나. 가축분뇨의 발생량다. 퇴비, 액비 등으로 자원화, 정화처리 등 가축분뇨의 처리 유형별 현황라. 작목의 종류별 재배 농경지의 면적마. 작목별 비료 수급 현황바. 작목별 농경지에 포함된 비료의 함량사. 그 밖에 농경지의 양분현황을 알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 2. 생활환경 또는 물환경, 토양 등의 오염현황 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26.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5조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5조(가축분뇨관리기본계획 등)에 대한 교재의 내용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50 에서4) 법 제5조 (가축분뇨관리기본계획 등) ① 시ㆍ도지사 특별자치시장 또는 특별자치도지사는 관할구역의 가축분뇨의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 (이하 “가축분뇨관리기본계획”이라 한다)을 10년마다 수립하여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가축분뇨관리기본계획 중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중요사항을 변경하려는 때에도 또한 같다 . . ② 환경부장관은 제 1항에 따라 가축분뇨관리기본계획의 수립 또는 변경에 관한 승인을 하려는 때에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및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야 한다. ③..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26.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48 에서2) 법 제2조 (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가축"이란 소, 돼지, 말, 닭,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육동물을 말한다. 2. "가축분뇨"란 가축이 배설하는 분(糞), 요(尿) 및 가축사육 과정에서 사용된 물 등이 분, 요에 섞인 것을 말한다. 3. "배출시설"이란 가축의 사육으로 인하여 가축분뇨가 발생하는 시설 및 장소 등으로서 축사, 운동장, 그 밖에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시행규칙 제2조-배출시설] :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26.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 배출원단위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 배출원 단위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43~44 에서 아래와 같은 내용의 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표의 내용을 묻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표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축종별 분뇨 배출량이 많은 순서로 정렬하면, 젖소 > 한우 > 말 > 돼지 입니다. 또한 산란계, 육계, 오리의 경우  g/수*일의 단위로 나타나있는데, 이는 kg/1000수*일과 동일합니다. 이를 환산하여 대략 계산하면, 산란계와 육계는 1000마리당 약 100kg의 분뇨를, 오리의 경우 1000마리당 약 200kg의 분뇨를 배출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기출문제에서 어떤 방식..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