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28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 배출시설 규모 기준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 배출시설 규모 기준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41~42 에서 나온 내용을 표로 요약하자면,허가대상 (m^2)축사 면적운동장 면적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돼지1000 이상-500 이상소900 이상450 이상450 이상, 200 이상젖소900 이상2700 이상450이상, 1350 이상말900 이상-450 이상닭,오리3000 이상--   신고대상 (m^2)축사 면적운동장 면적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돼지50 이상 ~ 1000 미만-50 이상 ~ 500 미만소100 이상 ~ 900 미만200 이상 ~ 450 미만100 이상 ~ 450 미만100 이상 ~ 200 미만젖소100 이상 ..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19.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 정화처리 방류수 수질기준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 정화 처리 방류수 수질 기준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39~40 에서 정화처리란 오염성 물질이 포함된 물, 토양, 공기 등을 다양한 처립아법에 의해 오염성 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처리대상물을 원래의 깨끗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일련의 처리과정을 말한다. 정화처리는 양돈농가 또는 낙농가와 같이 액상분뇨가 배출되는 농가가 사용할 수 있는 처리방법이다. 가축분뇨 정화처리 시설에서의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와 부유성 고형물(SS), 총질소(TN), 총인(TP)의 방류수 수질 기준은 16년부터 강화되어져서 19년에는 규제농도가 더욱 강화되었다. 현재 가축분뇨 정화처..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17.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국내 축산악취 관련 주요 정책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국내 축산악취 관련 주요 정책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에서는 과거 정책인 가축분뇨 관리 이용 대책(2004.11), 제2차 악취방지 종합시책(2019)에 대한 내용도 담고 있지만, 앞선 내용에서는 중요하게 확인할 점이 10년 주기로 국가악취관리 정책 방향을 담은 최상위계획을 수립한다 정도만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본격적으로 다루는 부분은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시한 2030 NDC 상향안과 연계한 축산환경대책입니다.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33 에서2030년까지 축산분야 온실가스 30% 감축을 목표로 두고 있음, 주요 추진 계획으로는 1. 저탄소 사양관리 (감축량 36%), 2. 가축..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16.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바이오차(Bio-Char) 활용 현황과 공동자원화 시설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바이오차(Bio-Char)와 공동자원화시설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 17 에서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같은 교재 p.20에서,  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제 기출문제에서 어떤 방식으로 위 내용을 물어보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3회 5번 문제는 국내외 바이오차의 활용 현황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교재 내용에서 제시된 바이오차의 활용 현황은 농업, 산업, 환경의 3가지 범주만 있습니다.  3회 6번 문제는 가축분뇨 공동자원화시설 개보수 사업 지침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해당 사항을 알고 있어야 풀 수 있던 문제로, 준공일 ..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16.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처리지원 사업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처리지원(공동자원화시설) 사업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15~16 에서가축분뇨 처리 현황 및 문제점 가축분뇨 발생량은 지속 증가하는 추세이나, 국내 토양의 양분 과잉 및 살포지 감소, 탄소중립정책 등으로 퇴비액비화 처리는 현재 아래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한계에 이르고 있는 추세이다. 1. 퇴비액비화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발생, 장마 기간 증가, 가축질병 발생 (차량출입제한), 농가 고령화 등으로 퇴비액비 살포 여건 악화2. 액비의 경우 일부 농가에서는 정화 방류하여 처리중이나, 퇴비의 경우 농경지 살포 이외 처리 방법 한계3. 온실가스 감축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2024. 8.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