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 정화처리 방류수 수질기준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 정화 처리 방류수 수질 기준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39~40 에서
정화처리란 오염성 물질이 포함된 물, 토양, 공기 등을 다양한 처립아법에 의해 오염성 물질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처리대상물을 원래의 깨끗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일련의 처리과정을 말한다. 정화처리는 양돈농가 또는 낙농가와 같이 액상분뇨가 배출되는 농가가 사용할 수 있는 처리방법이다.
가축분뇨 정화처리 시설에서의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와 부유성 고형물(SS), 총질소(TN), 총인(TP)의 방류수 수질 기준은 16년부터 강화되어져서 19년에는 규제농도가 더욱 강화되었다. 현재 가축분뇨 정화처리시설에서의 방류수 수질 기준은 새로이 총유기탄소(TOC)가 추가되어 규제되고 있어 정화처리를 하고 있는 양돈 및 낙농가들이 정화방류수 수질기준에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공공처리시설과 가축분뇨처리업자가 설치한 시설 모두 기준이 동일합니다. 이 경우에는 BOD, COD, SS,TN, TP, 대장균 수를 방류수 수질기준에서 제시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정화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에서는 BOD, TOC, SS, TN, TP의 5가지 항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COD 대신 TOC를 사용한다는 점을 기억하셔야합니다. 또한 허가대상과 신고대상의 차이도 있고, 특정지역과 기타지역의 차이도 있어 이 부분에서 문제가 많이 나옵니다. 머릿속으로 표를 여러번 반복학습하여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제 기출문제에서 어떤 방식으로 위 내용을 물어보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1회 3번 문제와 2회 3번 문제는 개별 정화시설의 방류수 기준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 1회 3번 문제의 경우는 특정 지역과 개별 지역의 기준 수치를 골고루 물어보고, 이 중 틀린 것을 찾아서 체크하게 되어있습니다. 특정지역의 허가대상의 BOD 기준은 40입니다. 2회 3번 문제의 경우에는 총유기탄소량의 숫자가 잘못 제시됐습니다
1회 27번 문제 와 4회 29번 문제는 기타 지역의 허가대상 규모 정화시설의 방류수 수질 기준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동일한 문제로 출제되었으며, 문제의 발문은 다르지만 같은 내용입니다. 특정 지역이나 기타 지역으로 나뉘어지는 방류수 수질 기준에는 COD에 대한 기준이 없습니다.
2회 28번 문제는 가축분뇨 처리업자가 설치한 정화시설의 방류수수질기준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각 항목을 비워놓고, 올바르게 연결한 것을 찾아 답안을 고르게 되어있습니다.
3회 31번 문제와 4회 33번 문제는 TOC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TOC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2과목에서 나오지만, 여기에서 간단히 언급하고 넘어가겠습니다. TOC는 방류수 내 유기탄소의 양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생화학적으로 분해되는 유기물의 양을 대표할 수 있는 수치는 BOD입니다.
이것으로 가축분뇨 정화처리 방류수 수질기준에 대한 교재 내용과 기출 문제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블로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교재와 기출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축산환경학회에게 있습니다.
교재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교육영상 및 자료에서, 기출문제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 및 국민행복 향상에 기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세계 최고의 축산환경개선 선도기관
lemi.or.kr:44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