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 오염방지론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축산환경 오염방지론 기출 분석

축산환경컨설턴트 수험생 2024. 8. 12. 14:23
반응형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이번에는 축산환경 오염방지론(2과목)의 과거 기출 문제들에서 나온 테마들을 적어보겠습니다. 다수의 자격증 시험들이 그렇듯, 기출문제에서 나온 내용들이 반복해서 나옵니다. 기출 문제에 있는 내용들을 다 알고, 완전히 풀어낼 수 있는 지식과 함께 교재의 내용도 같이 머릿속에 넣어가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며 적어보겠습니다. 

 

1

 

가축분뇨의 처리 의무

액비 과다살포의 문제

EU의 질산염관리령

가축분뇨처리시설의 설치기준 중 공통기준

수분조절재 사용시 건조, 발효 시설의 규모

가축분뇨 바이오가스화 처리시설의 설치 요건

허가대상(기타지역) 개별 정화시설의 방류수 기준 2023.1.1. 이후

액비 살포 기준

액비 시용량 결정 방법

OECD기준 양분수지 산정 시 농경지에 투입되는 질소 항목

양분수지의 활용범위

양분 삭감 방안

가축의 하루 머무름 시간

신고대상 배출시설로 규정하는 방목 사육시설

가축분뇨 및 퇴비 액비 관리대장 기록사항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에서 산정하는 온실가스의 종류

온실가스 배출원 중 간접배출량

CCUS 기술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개념과 의의

 

2

BAU

먹는물의 수질 기준

양분의 집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질소 양분수지 계산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의 허가대상 배출시설 규모

젖소와 돼지의 액비 살포시 필요한 초지, , , 과수원 면적

농경지 양분수지 저감방안

방수수질기준 2023.1.1.이후

악취 물질의 시료 채취 방법

가축분뇨처리시설의 설치 기준

배출권 할당 방식

CBAM

농축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 특성

비점오염원

친환경 경축순환농업 보급 방안

경축순환농업의 긍정적 효과

가축분요에 의한 양분투입 저감 방안

가축분뇨의 일반적인 이화학적 특성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수립 5가지 원칙

CCUS 기술

 

3

지구온난화 1.5도 특별 보고서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경향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축산부문 온실 기체 중 직접배출량으로 산정되는 것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배출권 할당 방식의 기준

농축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 과정

농축산업 환경 여건의 변화

가축분뇨법 상 금지된 행위

가축분뇨 액비의 살포 기준

총유기탄소 방류 수질 기준항목

가축분뇨의 배출 구조 유형

EU 질산염관리령에서 규정하는 유기질비료 살포 기준

가축분뇨 유래 중금속 오염물질

농경지 양분수지분석에서 반출되는 양분

양분수지

지역단위 양분관리에서 가축분뇨 정화처리 방식의 영향

농경지 양분수지 저감 방안

양분초과율 공식

정보처리시스템 구축을 통한 양분수지 삭감 시행방안

 

 

4

배출권 할당 방식

CBAM

축산 부문 온실기체 중 직접 배출량 산정 배출원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구성 원칙

농축산부문 온실가스 배출의 특성

CCUS 기술

정보처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양분수지 삭감 시행 방안

질소양분수지 계산

기타지역의 허가대상 규모 정화시설의 방류수 수질기준 항목

양분수지 삭감 방안

비점오염원 유출 억제 관리 요령

축종별 규모별 가축분뇨 배출시설의 규모

총유기탄소 수질 기준

토양환경 오염현황 조사시 오염원을 중심으로 경계선을 표시하는 조사범위 반경

악취 측정 시료의 채취 및 측정 방법

수분조절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요구되는 저장용량

퇴비화 기준에서 축종별 함수율과 염분 함량

강우유출수 내 오염물질 저감 방법

액비화 기준에서 구리와 아연의 함량 기준

축산오염원의 경계면을 설정하는 방법

 

중복 기출 문제

가축분뇨처리시설의 설치 기준 - 1회, 2회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 모든 회차

CCUS 기술 - 모든 회차

배출권 할당 방식 - 2회, 3회, 4회

양분 수지 - 모든 회차

악취 측정 시료의 채취 및 측정 방법 - 2회, 4회

총유기탄소 수질 기준 -  3회, 4회

비점오염원 - 2회, 4회

액비 살포 기준 - 1회, 3회

EU 질산염관리령 - 1회, 3회

농경지 양분수지 저감 방안 - 2회, 3회, 4회

농축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 특성 - 2회, 3회, 4회

정보처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양분수지 삭감 시행 방안 - 3회, 4회

 

이외에도 CBAM, 양분초과율 계산, 특정 지역에 따른 방류수 수질 기준, 처리시설을 설치해야하는 농장의 규모들을 묻는 문제들도 자주 출제되었습니다. 축산환경 오염방지론 과목 역시 외워야만 풀 수 있는 문제들이 여럿 나오기 때문에, 이 부분들은 확실히 암기하고 갈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같이 공부하는 입장이니 서로 확인하면서 암기 사항들을 잘 점검하면 크게 어렵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시 한 번 파이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