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 처리기술론 2 기출 분석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 처리기술론 2(4과목)의 기출 분석입니다. 가축분뇨 처리기술론 2는 정화와 에너지화에 대한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계산하는 문제들이 많고, 숫자를 암기한다기보다는 각 공정에서의 특징, 원리를 묻는 문제들이 주로 출제되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설명하는 단어를 봤을 때, 어떤 공정에서 사용되고,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를 외우면서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제 출제되었던 문제들의 주제를 살펴보겠습니다.
1회
F/M
화학적 단위 공정
가축 분뇨 내 고형물 입자 크기
폭기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
A2O공법
생물학적 처리수 내 잔존하는 오염물질과 색도 제거 기술
호기조-무산소조-침전조 순으로 구성된 공법
SBR 공법
착유세정수 정화 처리
질소의 용적부하량 계산
이론적 메탄퍼텐셜의 원소분석 항목
COD기준 이론적 메탄퍼텐셜
국내 바이오가스화 공정의 설계기준에서 가축 분뇨 저류조 용량의 최소 설계 기준
국내 바이오가스화 공정의 설계기준에서 중온 소화의 경우 최소 소화일수
바이오가스 품질관리를 위한 실록산의 최대함량 기준
메탄생산량 계산
혐기라군
가축분뇨 고체연료의 품질기준 중 중금속 항목
독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 작물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에서 메탄생산량이 가장 많은 원료유입 유형
2회
탈질소를 위해 무산소조에 첨가하는 약품
슬러지 지표가 170-130 감소시 처리장 운전 대응 방법
물리 화학적 처리법으로 질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활성슬러지 변형공법 중 반응조의 역할
분리 방식 특성별로 고액분리 장치 분류하기
폭기조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
연속회분식 반응기 공법
유기물 용적부하량 계산
오존산화
유입된 원수에 화학물질 첨가 후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화학적 처리 방법
가축 분뇨 고체연료의 품질 기준 (저위발열량, 회분함량, 납 함량)
바이오가스 탈황 기술
혐기소화 운전인자 pH
혐기소화 공정
고체연료 건조방식에서 소요 기간이 가장 오래 걸리는 방법
유기물 부하율 계산
메탄고질화 기술
혐기소화조의 운전 특성
가축분뇨 저류조의 용량설계지침
혐기소화 미생물의 반응 단계
3회
A2O공법
F/M비
가축 분뇨내 고형물의 종류별 입자의 크기 순서
슬러지 지표
착유세정수 정화처리
Nitrosomonas의 미생물 화학 반응
활성슬러지 공정에서 반응조 내 MLVSS농도 계산
생물학적 정화처리 공정의 운전인자별적정 운전 조건
주처리 공정의 반응 특성
처리수의 고도후처리를 위한 막 여과기술
가축분뇨 고체연료 품질 기준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운전 특성
메탄퍼텐셜평가
바이오가스화 공정의원료관리 측변 설계 및 운전 기준
고온 혐기소화조 설계시 적절한 운전온도 범위
건식 혐기소화조의 유기물부하량 설계기준
메탄생산량 계산
유입원료의 종류에 따른 혐기소화조의 운전 특성
질소 용적부하량 계산
단상소화조의 적정 운전 pH 범위
4회
수리학적 체류시간
암모니아이온의 생물학적 제거 단계
A2O공법
유기물 용적 부하량 개념
막분리 공정의 여과 성능 크기 비교
BOD
산기식과 기계식 공기공급시스템
무기응집제
전탈질
부상분리법
매립지가스, 하수슬러지 혐기소화가스, 기타 혐기소화가스에 공통으로 포함된 성분이 아닌 것
리그노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이용하는 혐기소화조에서 반응속도가 결정되는 단계
가축분뇨 혐기소화의 메탄생성 단계
BOD산정 시 필요한 정보
혐기소화조에서 메탄생성균의 저해 영향
양돈슬러리를 일정한 속도로 유입 유출하며 55도를 유지하는 하나의 혐기소화조를 사용하는 방식
수열탄 기술
COD 1% 양돈 슬러리 1M^2에서 얻을 수 있는 메탄생산량 계산
난분해성 유기물이 원료에 포함시 나타나는 순바이오가스 생산량 그래프
경제성 측면에서 가축분뇨 고체연료 제조 시 가장 유리한 원료
중복 출제 문제
F/M비 - 1회, 3회
A2O공법 - 1회, 3회, 4회
가축 분뇨 내 고형물 입자 크기 - 1회, 3회
폭기조로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관 - 1회, 2회
질소의 용적부하량 계산 - 1회, 3회
메탄 생산량 계산 - 1회, 3회
가축분뇨 고체연료의 품질 기준 - 1회, 2회, 3회
혐기소화조의 운전 특성 - 2회, 3회
유기물 용적 부하량 - 2회, 4회
혐기소화 - 2회, 3회, 4회
가축분뇨를 이용한 고체연료 - 2회, 4회
이외에도 설계 기준, 정화 방류수 기준, 계산에 이르기까지, 정화 및 에너지화의 전반적인 내용들을 묻는 문제들이 고루 출제되었습니다. 우선 기출 빈도가 높은 문제들을 우선 암기하고, 다른 내용들은 추가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전략적으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4과목에서는 과락을 피하는 방법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아보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