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 배출원단위

축산환경컨설턴트 수험생 2024. 8. 19. 21:58
반응형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 배출원 단위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43~44 에서 아래와 같은 내용의 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축분뇨-배출원단위-공고
가축 분뇨 배출원 단위 공고

 

 


이 표의 내용을 묻는 문제가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표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축종별 분뇨 배출량이 많은 순서로 정렬하면, 젖소 > 한우 > 말 > 돼지 입니다.

 

또한 산란계, 육계, 오리의 경우  g/수*일의 단위로 나타나있는데, 이는 kg/1000수*일과 동일합니다. 이를 환산하여 대략 계산하면, 산란계와 육계는 1000마리당 약 100kg의 분뇨를, 오리의 경우 1000마리당 약 200kg의 분뇨를 배출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제 기출문제에서 어떤 방식으로 위 내용을 물어보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축산환경컨설턴트-2급-1회-14번-문제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1회 14번 문제

 

1회 14번 문제는 가축분뇨 발생량을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젖소의 경우 마리당 약 28kg, 한우의 경우 마리당 약 13kg, 돼지의 경우 마리당 약 5kg, 육계는 1000마리당 약 100kg의 분뇨가 발생합니다.

 

계산해보면, 1번 보기, 한우 1000두의 경우는 약 13000kg의 분뇨가 발생합니다. 2번 보기, 젖소 500두의 경우는 약 14000kg의 분뇨가 발생합니다. 3번 보기, 돼지 5000두의 경우는 약 25000kg의 분뇨가 발생합니다. 4번 보기, 육계 100000수 사육의 경우에는 1000수가 100개 있는 것이므로약 10000kg의 분뇨가 발생합니다.


 

이것으로 가축 분뇨 배출원 단위에 대한 교재 내용과 기출 문제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블로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교재와 기출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축산환경학회에게 있습니다.

 

교재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교육영상 및 자료에서, 기출문제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 및 국민행복 향상에 기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세계 최고의 축산환경개선 선도기관

lemi.or.kr:44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