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컨설턴트 2급/축산환경정책 및 법규론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 배출시설 규모 기준

축산환경컨설턴트 수험생 2024. 8. 19. 13:45
반응형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 배출시설 규모 기준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41~42 에서 나온 내용을 표로 요약하자면,


허가대상 (m^2) 축사 면적 운동장 면적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돼지 1000 이상 - 500 이상
900 이상 450 이상 450 이상, 200 이상
젖소 900 이상 2700 이상 450이상, 1350 이상
900 이상 - 450 이상
닭,오리 3000 이상 - -

 

 

 

신고대상 (m^2) 축사 면적 운동장 면적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
돼지 50 이상 ~ 1000 미만 - 50 이상 ~ 500 미만
100 이상 ~ 900 미만 200 이상 ~ 450 미만 100 이상 ~ 450 미만
100 이상 ~ 200 미만
젖소 100 이상 ~ 900 미만 300 이상 ~ 2700 미만 100 이상 ~ 450미만
300 이상 ~ 1350 미만
100 이상 ~ 900 미만 - 100 이상 ~ 450 미만
닭,오리,메추리 200 이상 ~ 3000 미만 (메추리 축사 면적 200 이상) -
양,사슴 200 이상 - -
60 이상 - -

 

방목 사육 시설 마리
돼지 36 이상
소, 젖소, 말 9 이상
오리 1500 이상
양, 사슴 50 이상

 

다만 오리의 경우 초지법에 따른 초지에서 사육하거나 자연순환농법으로 논에서 욀를 사육하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의 소와 젖소의 면적 기준은, 축사, 운동장 순서로 나열했습니다.)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허가 대상의 경우 가축사육업을 한다고 신고한 뒤 신고 기관의 허가가 있어야 하는 대상입니다. 반면 신고 대상은, 신고 기관의 허가가 없이 신고만 해도 되는 대상입니다. 따라서 규모를 비교할 때, 허가 대상이 더 큰 규모라는 점을 머릿속에 넣어두고 보시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허가대상 기준의 하한에 해당하는 수치가 신고대상의 상한입니다. 또한,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의 경우, 각 대상의 기준의 절반 정도 되는 상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준을 외울때는, 신고대상의 수치만을 외우고 이것보다 넘어가면 허가대상이다는 느낌을 가지고 암기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제 기출문제에서 어떤 방식으로 위 내용을 물어보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반응형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축산환경컨설턴트-2급-2회-25번-문제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2회 25번 문제

 

축산환경컨설턴트-2급-3회-1번-문제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3회 1번 문제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4회 32번 문제

 

이처럼 직접적인 기준, 혹은 사육면적이 얼마일 때 가축분뇨 배출시설을 설치해야 하는지에 대힌 내용들을 묻고 있습니다. 매 회차 출제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암기하셔야 하는 내용입니다.


 

이것으로 가축분뇨 배출시설 기준에 대한 교재 내용과 기출 문제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블로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교재와 기출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축산환경학회에게 있습니다.

 

교재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교육영상 및 자료에서, 기출문제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 및 국민행복 향상에 기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세계 최고의 축산환경개선 선도기관

lemi.or.kr:44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