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가축분뇨처리지원 사업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가축분뇨처리지원(공동자원화시설) 사업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15~16 에서
가축분뇨 처리 현황 및 문제점
가축분뇨 발생량은 지속 증가하는 추세이나, 국내 토양의 양분 과잉 및 살포지 감소, 탄소중립정책 등으로 퇴비액비화 처리는 현재 아래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한계에 이르고 있는 추세이다.
1. 퇴비액비화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발생, 장마 기간 증가, 가축질병 발생 (차량출입제한), 농가 고령화 등으로 퇴비액비 살포 여건 악화
2. 액비의 경우 일부 농가에서는 정화 방류하여 처리중이나, 퇴비의 경우 농경지 살포 이외 처리 방법 한계
3. 온실가스 감축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가축분뇨 에너지화 사업을 추진중이나, 주민 기피 시설로 인식되어 실적 저조
4. 기존 자원화 정책을 재평가하고 축종별, 지역별 양분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축분뇨 처리방식 다양화 추진 필요
가축분뇨 발생량에 맞는 적정 액비 살포지 여부 점검 강화 (환경부 협업)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제 기출문제에서 어떤 방식으로 위 내용을 물어보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2회 8번 문제는 돼지 사육 농가에서의 액비 살포를 위한 농경지(논)의 최소 확보 면적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 논에 액비를 살포할 때 돼지 한 마리 당 확보해야할 최소 면적은 260m^2입니다. 따라서, 2000마리의 돼지 사육 농가에서는 2000*260=520000 만큼의 농경지를 확보해야 합니다.
2회 26번 문제는 앞선 교재 내용 정리에서 나온 표의 내용 전체를 묻고 있습니다. 초지, 논, 밭,과수원 순서로 외우고, 젖소부터 차례대로 숫자를 외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앞선 표의 내용을 읽어보면서 정답 체크하시면 되겠습니다.
이것으로 가축분뇨처리지원 사업에 대한 교재 내용과 기출 문제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블로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교재와 기출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축산환경학회에게 있습니다.
교재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교육영상 및 자료에서, 기출문제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 및 국민행복 향상에 기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세계 최고의 축산환경개선 선도기관
lemi.or.kr: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