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퇴비화 기준과 액비화 기준
축산환경컨설턴트 2급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 모두 파이팅입니다.
퇴비화 기준과 액비화 기준(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의2)에 대한 교재의 내용과 기출문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교재 내용 정리 및 요약
1과목 교재 p.66~67 에서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퇴비화 기준은 부숙도, 함수율, 구리, 아연, 염분 함량에 대해서 정해져있습니다. 모든 가축에서는 부숙도 기준에 적합해야 하며, 함수율이 70% 이하여야 합니다.
돼지의 경우에는 구리와 아연 함량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돼지 분뇨의 퇴비화 기준은 구리는 500mg/kg 이하, 아연은 1200mg/kg 이하입니다.
소와 젖소의 경우에는 염분 함량에 대한 기준이 있습니다. 소와 젖소 분뇨의 퇴비화 기준은 염분 2.5% 이하입니다.
액비화 기준은 돼지와 젖소에 한해서만 기준이 정해져있습니다. 돼지의 경우에는 슬러리 형태의 분뇨로 배출되고, 젖소의 경우에는 분뇨에 세척수가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액체의 비중이 크기 때문입니다.
액비화 기준은 부숙도, 염분, 구리, 아연 함량과 함수율에 대해서 정해져있습니다. 돼지와 젖소 모두 염분은 2.0% 이하, 구리는 70mg/kg 이하, 아연은 170mg/kg 이하여야 합니다. 함수율의 경우는 젖소의 경우와 돼지의 경우가 다른데, 돼지의 함수율은 95% 이상, 젖소의 함수율은 93% 이상이여야 합니다.
이제 기출문제에서 어떤 방식으로 위 내용을 물어보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기출문제 분석 및 풀이
1회 4번 문제에서는 퇴비화 기준과 액비화 기준을 다양하게 물어봤습니다. 젖소의 액비화 기준 중 함수율은 93% 이상이여야 합니다.
3회 13번 문제와 4회 15번 문제는 동일한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소와 젖소의 퇴비화 기준은 염분 2.5% 이하입니다.
4회 37번 문제에서는 축종별 퇴비화 기준에서 함수율과 염분 함량이 옳게 짝지어진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모든 축종의 퇴비화 기준은 함수율 70%이하이며, 돼지의 경우는 염분 기준이 없습니다.
4회 39번 문제에서는 돼지와 젖소의 액비화 기준에서 구리와 아연함량에 대해서 묻고 있습니다. 돼지와 젖소 모두 구리는 70mg/kg 이하, 아연은 170mg/kg 이하입니다.
이것으로 가축분뇨의 퇴비화 기준과 액비화 기준(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2조의2 [별표 3])에 대한 교재 내용과 기출 문제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블로그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교재와 기출문제에 대한 저작권은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축산환경학회에게 있습니다.
교재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교육영상 및 자료에서, 기출문제는 축산환경관리원의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 및 국민행복 향상에 기여
국민에게 신뢰받는 세계 최고의 축산환경개선 선도기관
lemi.or.kr:443
댓글